Lab-03-Theory -
Antenna E-field, H-field, Surface Current and Far Field Patterns
I. 요약
- 안테나 주변의 전기장 분포, 자기장 분포 계산 및 결과 확인
- 안테나 금속표면의 전류밀도 분표 계산 및 결과 확인
- 안네나의 원거리 지향도(directivity)/이득(gain) 계산 및 결과확인
- 다이폴 안테나를 이용하여 CST Studio 사용법 학습
II. 이론
1. Antenna's
E-field, H-field, Surface Current Plot
ㅇ 안테나의 동작원리 이해: 특히 안테나 표면의 전류밀도를 관측함으로써 복잡한 구조의 안테나 동작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.
ㅇ 안테나가 예상대로 동작하는 지 확인: 도체가 연결되지 않고 미세한 gap이 있는지 안테나 표면 전류밀도로 확인 가능
ㅇ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전기장/자기장의 공간상 분포 확인: 어느 방향으로 전력이 방사되는지 확인 가능
그림: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전기장 세기 분포
그림: 스트립선로 단면 상에서의 전기장 벡터 분포
그림: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단면상에서의 자기력선 분포
2. 도체면 상의 전기장, 자기장, 전류밀도의 거동
ㅇ 안테나 상의 전기장/자기장 분포를 이해하려면 도체면 상에서 전기장/자기장의 경계조건을 알아야 한다.
ㅇ 완전도체면 상의 경계조건: Boundary conditions on PEC (perfect electric
conductor) surfac
- 완전도체: 전도도가 무한히 큰 물체
- 전기장 벡터는 도체면 상에서 수직방향이며 그 크기는 표면전하밀도에 비례
: 도체면 상에서 전기장 벡터의 도체면 접선방향 성분은 0
: 도체면 상에서 전기장 벡터의 도체면 수직방향 성분은 전하밀도를 유전율로 나눈 값과 동일
- 자기장 벡터는 도체면 상에서 수평방향이며 그 크기는 표면전류밀도와 동일. 자기장벡터의 방향과 전류의 방향은 오른손 법칙 적용 (엄지: 전류방향, 나머지 손가락: 자기장 방향)
: 도체면 상에서 자기장 벡터의 도체면 수직방향 성분은 0
: 도체면 상에서 자기장 벡터와 전류밀도와의 관계 (오른손 법칙)
ㅇ 완전도체 내부에서의 전기장과 자기장은 0
3. Antenna's Far Field Patterns (원거리 방사패턴)
ㅇ 안테나 원거리 방사패턴 표현 시 구좌표계 이용
ㅇ 구좌표계
: 전기장을 직각좌표계로 표현한 경우
: 전기장을 구좌표계로 표현한 경우
ㅇ 안테나 종류에 관계없이 안테나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는 전기장과 자기장의 theta 성분과 phi 성분만 존재.
: 전기장과 자기장의 r 방향 성분은 0
ㅇ 전기장과 자기장의 비율은 매질(공기)의 고유임피던스와 동일
: 전기장 크기와 자기장 크기의 비
ㅇ 전기장, 자기장, 전파의 진행방향은 서로 수직
: r 방향
ㅇ 안테나 원거리 패턴의 종류
-
Directivity pattern: 지향도 패턴, 안테나의 beam sharpness 그래프. 안테나 손실(효율)에 무관
- Gain
(IEEE) pattern: 지향도에 안테나 내부물질에 의한 손실율 (무손실 1, 전손실 0)을 곱한 값. 지향도보다 작거나 같다.
-
Realized gain: 지향도에 안테나 내부물질에 의한 손실율, 임피던스 부정합 손실율 (1−|S11|^2)을 곱한 값. 지향도보다 작거나 같다.
-
E-plane pattern: 전계면 패턴, 전기장에 평행면에서의 패턴, 도선이 z-축 방향인 다이폴의 경우 z축을 포함하는 평면 (phi
= 일정인 평면). 수직방향 다이폴 안테나의 수직면
-
H-plane pattern: 자계면 패턴, 전기장에 평행면에서의 패턴, 도선이 z-축 방향인 다이폴의 경우 z축을 포함하는 평면 (phi
= 일정인 평면). 수직방향 다이폴의 경우 수평면
-
Gabs pattern: , 총전기장(전기장의 theta 성분과 phi 성분의 벡터합)을 기준으로 한 이득
-
Gtheta pattern: , 전기장의 theta 성분을 기준으로 한 이득
-
Gphi pattern: , 전기장의 phi 성분을 기준으로 한 이득
- 원거리 패턴 표현방식: Polar, Cartesian, 2D, 3D
Polar: 원형 극좌표 그래프
Cartesian: 직각 그래프
2D: 평면 color coded graph
3D: 삼차원 color coded graph
그림: Far-field pattern in a polar form
그림: Far-field pattern in a
Cartesian form
그림: 2D far-field pattern
그림: 3D far-field pattern